투자55 환율의 결정과정과 변동요인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 즉 환율은 외환의 가격인데 '1달러가 몇원이나?'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환율 결정원리는 기본적으로 일반상품의 가격결정 원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외환에 대한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균형이 이루어지며 이때의 균형환율이다. 환율결정이론이란 외환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어떤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러한 변수들 사이에 어떤 관게가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환율결정원리를 분석하는 모형은 국제경제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즉 1970년대까지는 주로 경상수지의 변화에 의해 환율이 결정된데 반해 1980년대 이후에는 국제간의 자본이동의 증가로 자본수지의 변화가 환율변동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환율결정이론도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변.. 2012. 12. 23. 이자율변동요인분석-계절적인 요인2 그러나 이러한 계절적 요인에 의한 이자율변동 효과는 당시의 경제여건 변화나 당국의 정책적 대응이 다른 요인에 의하여 쉽게 상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기에 따라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보통 설날이나 추석을 앞두고서는 경제 전체적으로 자금수요가 팽창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대개 한국은행에서 이를 미리 예상하여 통화를 넉넉하게 공급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명절이 라고 해서 반드시 이자율이 상승하는 것만은 아니다. 또한 계절적으로 이자율이 떨어지는 시기라고 해도 경기나 물가 등 순환적인 요인에 의하여 이자율이 통상적인 패턴에서 벗어나 오히려 상승세를 보여줄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계절적인 이자율 변동요인 가운데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2/4분기붜 3/4분기.. 2012. 12. 23. 이자율변동요인분석-계절적인 요인1 우리나라의 경우 이자율은 뚜렷한 계절성을 갖고 있다. 이자율의 계절성이란 이자율이 1년 중 어떤 시기만 되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현상을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이자율의 계절적 변동으로는 월말이나 연말에 이자율이 올라갔다가 월초나 연초에 다시 떨어지는 월말효과, 추석 등 명절을 앞두고 이자율이 올라가는 명절효과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이자율에 게절성이 나타나는 이유는 추석자금 수요처럼 시중자금 사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서 일년 중 특정시점에만 매번 나타나는 변수들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월말에 이자율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는 것도 부가세, 법인세 등 세금이나 임금지불 등 자금수요 요인이 월말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추석을 전후한 이자율동향을 살펴보면 대략 추석 10일전부터는 상.. 2012. 12. 22. 이자율변동요인분석 자본자유화 자본유출입에 대한 규제가 전혀 없을 경우 국제피셔효과에 의해 국내이자율은 일정한 관계하에서 국제이자율과 직접적으로 연동되어 있다. IMF경제위기 이후 자본시장이 거의 완전히 개방된 상황하에서 우리나라 이자율도 점차 국제이자율 수준으로 접근해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시장 개방으로 기업들의 해외자본 조달기회가 넓어짐에 따라 국내금융시장에 집중되고 있는 기업들의 자금수요 압력이 완화되고 국내금융시장에서 외국인의 투자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해외부문에서의 자금공급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자본시장 개방으로 단기투기성 국제자금의 유출입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자본자유화는 국내이자율의 변동성을 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2012. 12. 2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