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55

이자율변동요인분석1 경기변동1 이자율변동요인분석 우리나라에서의 이자율 변동요인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1] 경기변동 경기변동이란 기업의 생산이나 투자활동, 가계의 소비활동 등 한나라의 전반적인 경제활동 수준이 일정한 기간을 주기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경기 상승기에는 기업의 생산, 투자활동이 왕성해지므로 원자재구입이나 임금의 지급 등, 경상적인 지출이나 투자지출에 필요한 자금수요가 증가하여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게 된다. 반면 경기침체기에는 기업의 생산활동이나 투자활동 위축으로 정상적인 지출이나 투자지출에 필요한 자금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자율은 하락세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자율의 전환점은 경기의 전환점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즉 이자율은 경기가 저점을 지난 수개월 후에야 저점을 지나고.. 2012. 12. 18.
이자율결정이론 유동성선호설 1 이자율결정이론 유동성선호설 1 유동성선호설은 케인즈가 제시한 이자율 결정이론이다. 대부자금설에서는 이자율은 저축과 투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물적 현상으로 간주된다. 반면 케인즈는 이자율 결정이란 화폐적 현상이며 이자는 기본적으로 유동성을 포기한데 따른 대가로 정의된다고 보았다. 화폐와 채권 등 여러 금융자산 중에서 화폐는 유동성은 높으나 수익이 없는 자산인 반면 채권은 유동성이 낮으므로 채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유동성포기에 대한 대가를 주어야 하며 이것이 이자라는 것이다. 케인즈는 이자율이 화폐시장에서 경제주체들의 유동성에 대한 선호와 화폐공급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파악하였다. 화폐수요함수가 이자율과 (-)의 관계를 가지는 것과 화폐공급함수가 이자율에 대해 비탄력적인 수직의 모습을 가지는 것을 .. 2012. 12. 16.
이자율결정이론 대부자금설1 이자율결정이론 대부자금설 1 일반적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은 그것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이자율도 자금시장에서 대부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수 있고 이것이 대부자금설이다. 대부자금설은 종종 고잔학파의 이자율결정이론이라고도 한다. 고전학파의 이론에서 이자율은 생산ㄴ성의 변동이나 소비절약과 같은 실물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대부자금의 공급은 가계의 저축에 의해 결정되고 대부자금의 수요는 기업의 투자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대부자금의 수요와 공급은 화폐부분이 아닌 실물 부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므로 고전학파에서 이자율이란 실물부문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2012. 12. 16.
이자율결정이론 유동성선호설2 이자율결정이론 유동성선호설2 통화공급이 증가하면 이자율은 하락하게 된다. 이를 통화공급의 이자율에 대한 유동성효과라고 한다 유동성효과로 인해 이자율이 하락하면 투자수요와 소비수요가 증가하여 총수요증대에 따라 소득과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된다 소득의 증가에 따른 화폐수요의 증가는 이자율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데 이를 소득효과 라고 한다. 한편 통화공급의 증가에 따라서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면 기대인플레이션율도 높아져서 이자율이 상승하는 기대인플레이션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통화공급증대는 단기적으로는 유동성효과에 의해 이자율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득효과 및 피셔효과에 의해 오히려 이자율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수있다. 2012.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