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통화에 대한 원화의 평가절상 기대는 원화자산에 대한 수요를 늘림으로써 국내이자율(특히 단기이자율)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한다. 만약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울 경우 원화절상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아지게 되면 외국인 입장에서는 원화표시 자산으로 부터 기대하는 수익률이 기대환율 절상률만큼 올라가기 때문에 외화자산보다는 원화자산 투자를 늘리려고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외화를 보유하고 있는 내국인 입장에서도 원화의 평가절상이 예상될 경우에는 외화자산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그만큼 떨어지기 때문에 외화자산보다는 원화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반대로 원화의 평가절하는 국내이자율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중장기적으로 환율의 평가절하는 경상수지를 개선시켜 이자율을 하락시키는 효과도 있다.
한편, 이자율의 변동이 환율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자본이동이 자유로울 경우 국내 이자율상승은 해외자본 유입을 증가시켜 원화의 평가절상을 유발하게 된다.
'투자 > 투자기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자율변동요인분석-계절적인 요인1 (0) | 2012.12.22 |
---|---|
이자율변동요인분석 자본자유화 (0) | 2012.12.22 |
이자율변동요인분석-국제수지 (0) | 2012.12.22 |
이자율변동요인분석-통화정책2 (0) | 2012.12.21 |
이자율변동요인분석-통화정책-유동성효과 (0) | 201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