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순환의 원인 5
한편 경기순환이 지속성과 변동성을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같은 몇가지 다른 이론이 있다.
먼저 유발투자(induced investment)의 역할을 강조하는 견해가 있다.
어떤이유로 독립투자가 증가하면 이에 따라 생산 및 소득이 증가하며 이는 추가적인 투자를 유발한다. 또한 유발투자 증가로 소득은 더욱 증가한다. 이러한 연쇄작용이 계속되면 경기상승은 한동안 지속되고 그러다가 소득의 증가속도가 하락하면 점차 유밡투자가 줄어들기 시작하고 총수요가 줄어들면서 경기전환이 일어난다.
다음으로 자본재 투자에서 건설기간을 강조하는 견해가 있다. 기계나 건물 등 자본재에 대한 투자는 그 투자가 완결될 때까지 상당기간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몇년뒤에 자본재 수익이 상당히 높으리라 에상되면 기업은 몇년에 걸쳐 투자를 증대시킬 것이다. 이예 따라 생산증가는 여러 기에 걸쳐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몇년뒤에 자본재 수익률이 낮다고 판단되면 기업가는 이미 과도하게 투자된 바본스톡을 고려하여 현재의 투자를 감소시키므로 생산이 줄어들게 된다.
'투자 > 투자기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동향 판단 및 예측방법 2 (0) | 2013.01.18 |
---|---|
경기동향 판단 및 예측방법 1 (0) | 2013.01.18 |
경기순환의 원인 4 (0) | 2013.01.16 |
경기순환의 원인 3 (0) | 2013.01.16 |
경기순환의 원인 2 (0) | 201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