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율의 개념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재화 도는 서비스의 이용이라는 혜택을 누리는 대가로 돈이나 기타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 금전거래에서도 마찬가지로 금전을 빌린 대가를 지불하게 되는데 이를 이자라고 한다.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이 이자의 비율이 이자율이다
이자율 = 이자/원금
그런데 이자율에는 항상 시간이 개입된다. 지금 금전을 빌려주면 이자는 일정기간이 경과한 미래에 받게 되기 때문이다. 경제학에서는 소비자가 현재소비를 동등한 크기의 미래소비보다 선호한다고 가정한다. 즉, 현재소비를 미래소비보다 더 좋아한다고 가정하는ㄷ 이를 시간선호라고 한다. 현재를 미래보다 얼마만큼 좋아하느냐의 정도를 시간선호율이라고 하는데 시간선호율이 높은 사람일수록 미래의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볼 때 이자율은 결국 시간소호율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명목이자율
명목이자율 이란 화폐단위로 원금과 이자를 계산한 뒤, 양자의 비율에 의해 계산한 이자율
실질이자율
실질이자율 이란 재화와 서비스의 크기라는 실질변수를 이용하여 원금과 이자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계산하여 얻은 이자율이다 피셔는 물가수준의 변동을 이자율의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여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사이에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작용한다. 이를 피셔효과라고도 한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원금 대여자는 원금의 구매력을 상실할지도 모를 위험에 처하게 되고 이를 보상받기 위해 명목이자율 결정에 기대인플레이션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자율의 역할
1. 이자율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가격이다.
2. 실물부문과 금융부문을 연결한다.
3. 국내와 해외를 연결시킨다.
'투자 > 투자기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자율결정이론 유동성선호설 1 (0) | 2012.12.16 |
---|---|
이자율결정이론 대부자금설1 (0) | 2012.12.16 |
이자율결정이론 유동성선호설2 (0) | 2012.12.16 |
이자율결정이론 대부자금설2 (0) | 2012.12.16 |
미래가치 (0) | 2012.12.02 |